다카노 도시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노 도시유키는 일본의 외교관이다. 1967년 도쿄 대학교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아시아, 미국, 미얀마 등에서 근무했다. 1997년 북미국장, 1999년 국제정보국장을 역임했으며,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제14대 주대한민국 일본 대사를 지냈다. 주한 대사 재임 기간 중 독도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2005년에는 주독일 특명전권대사를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주재 일본 대사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독일 주재 일본 대사 - 오시마 히로시
오시마 히로시는 일본 육군 중장으로, 주독일 대사로 활동하며 반 코민테른 조약 및 삼국 동맹 조약 체결에 기여했고, 독일의 전쟁 정보를 일본에 보고했으나 연합군에 의해 해독되었으며,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아이보시 고이치
아이보시 고이치는 도쿄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대한민국 등에서 근무했으며, 주 대한민국 특명 전권 대사를 역임하다가 2024년 5월 의원 면직되었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시게이에 도시노리
시게이에 도시노리는 1969년 외무성에 입성하여 미국, 말레이시아, 영국 등에서 대사관 근무 후 외무성 북미국 안전보장과장, 주미 일본 대사관 공사 등을 역임하고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대한민국 주재 특명전권대사로 활동한 일본의 외교관이다. - 일본의 외교관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일본의 외교관 - 배정자
배정자는 일제강점기에 첩보원, 관료로 활동하며 고종에게 접근하여 정보를 빼내고, 러일전쟁 직전 친러파의 평양 천도 계획을 좌절시키는 등 밀정으로 활동하다가 광복 후 반민족행위 혐의로 체포되었다.
다카노 도시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카노 도시유키 |
원어명 | 高野紀元 |
로마자 표기 | Takano Toshiyuki |
출생 | 1944년 |
국적 | 일본 |
경력 | |
직업 | 외교관 |
전 직책 | 전 외교관, 이토추 상사 고문 |
2. 약력
- 1963년 - 도립 히비야 고등학교 졸업.
- 1966년 - 외무공무원 채용 상급 시험 합격[6]。
- 1967년 - 도쿄 대학 교양학부 졸업 후 외무성 입성[6]。
- 영어 연수(옥스퍼드 대학교)、아시아국, 미국국, 주미국 대사관, 주 버마 대사관 등에서 근무.
- 1987년 -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 1990년 - 대신관방 인사과장.
- 1992년 - 아시아국 참사관.
- 1994년 - 북미국 심의관.
- 1996년 - 주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
- 1997년 - 북미국장[6]。
- 1998년 - 외무성 연수소장.
- 1999년 - 국제정보국장[6]。
- 2000년 - 도쿄 대학 객원 교수.
- 2001년 - 외무 심의관[6]。
- 2003년 - 주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6]。
- 2005년 - 주 독일 특명전권대사[6]。
- 2008년 - 이토추 상사 주식회사 고문.
- 2013년 - 학교법인 도요 대학 이사.
- 2015년 - 일본우편 주식회사 감사역[7]。
- 2019년 - 서보중광장 수훈[8]。
3. 주한 일본 대사 재임 기간 논란
다카노 도시유키는 주한 일본 대사로 재임하면서 여러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독도 문제와 관련한 발언으로 인해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2005년 2월, 다카노 대사는 다케시마가 일본 영토라고 발언하여 한국에서 큰 반발을 샀다.[1] 이 발언으로 인해 일본 대사관 앞에서 반일 시위가 격화되었고, 일부 시위대는 과격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
3. 1. 독도 관련 발언 및 파장
2005년 2월 23일, TV 아사히 서울 지국의 한국인 기자가 외신 기자 클럽에서 '다케시마의 날' 조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했다. 다카노는 "그런 문제가 일어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 "이 문제가 한일 관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했다.[1] 이 발언 중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라는 부분만 한국에 발췌되어 보도되면서 반발을 일으켰고, 결국 주한 일본 공사를 불러 "엄중 항의"하는 사태로 이어졌다.이 발언에 대해 서울의 일본 대사관 앞에서 각 시민 단체가 연합하여 반일 집회를 개최했다. 다른 단체들은 심야 시위, 단지 , 다카노 대사의 얼굴이 그려진 깃발을 태우는 행위, "일본은 역사 왜곡을 즉각 중단하라"고 적힌 종이 비행기 30개를 일본 대사관 안으로 던지는 행위, 다카노의 이름이 적힌 돼지를 포획하는 퍼포먼스를 벌이는 등 소동을 일으켰다.[1] 활빈단은 전날 밤 심야 시위에 참여하고 다음 날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본뜬 골판지 상자 4개를 태운 후, 홍정식 단장이 칼로 자살을 시도했으나 경찰에 의해 저지되었다.[1]
4. 외무성 동기
다케우치 유키오(외무사무차관), 아난 고레시게(주중국 대사), 아사미 마코토(주콜롬비아 대사), 아베 도모유키(대신관방장), 와타나베 도시오(주아르헨티나 대사), 아베 노부야스(빈 대표부 대사), 니시무라 로쿠젠(OECD 대사, 구주아시아국장), 와타나베 아키라(주알제리 대사), 아마에 기시치로(주 시리아 대사, 중근동아프리카국장), 야마자키 류이치로(주필리핀 대사), 구로카와 유지(주우크라이나 대사), 우에다 히데아키(주호주 대사) 등이 외무성 입성 동기이다.
참조
[1]
뉴스
New Japanese envoys to Germany, EU named
http://www.thefreeli[...]
Kyodo News
2005-09-06
[2]
뉴스
Japan to appoint Toshiyuki Takano as ambassador to S. Korea
http://www.thefreeli[...]
Kyodo News
2002-11-14
[3]
웹사이트
Former Ambassadors and Consul-Generals
http://www.sg.emb-ja[...]
Embassy of Japan in Singapore
2012-10-24
[4]
뉴스
S Korea calls for Japan apology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3-01
[5]
웹사이트
行事紹介
http://133.43.216.3/[...]
[6]
웹사이트
高野紀元・駐ドイツ日本国大使
http://www.newsdiges[...]
[7]
웹사이트
経歴等の公表
https://www.post.jap[...]
日本郵便株式会社
[8]
간행물
『官報』14号
2019-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